책, 서점 등

책 없는 서점 - 독서하는 사람의 멸종을 알리는 징조?

Lesley 2017. 11. 11. 00:01


  얼마 전에 외국에서 지내다가 잠시 귀국한 친구를 만났다.

  친구가 오래간만에 우리나라에 왔으니 필요한 물건을 이것저것 사겠다고 해서 함께 돌아다녔다.  그러다가 교보문고 간판을 보고 여기(잠실역 근처)에도 교보문고가 있었냐며 잠시 들리자고 했다.  그 동안 우리나라 책을 거의 못 봤으니 마음에 드는 책이 있으면 한두 권 사서 가져갈 생각이었던 모양이다.


  그런데 서점에 들어서자마자 우리 둘 다 무척 당황했다.

  책이 안 보였기 때문이다...! @.@  서점에 책이 없다니, 이건 옷가게에 옷이 없고 생선가게에 생선이 없는 것과 똑같은 상황 아닌가...!  주로 문구류와 인테리어 소품이 진열되어 있고, 굳이 책 비슷한 것을 찾자면 고급 양장 다이어리 종류가 있을 뿐이었다.  물론 요즘 대형서점에는 책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고 대신 문구, 완구, 전자제품, 화장품 등을 파는 코너가 있는 게 일반적이기는 하다.  하지만 책이 아예 없다시피 한 서점은 처음이었다.   

  돌아다니느라 피곤하기도 했고 이왕 들어가기도 했으니, 서점 한쪽에 있는 커피숍에 앉아  커피 한 잔씩 홀짝거리며 이야기를 나눴다. (서점에 책은 없어도 커피는 있다는 것도 참 얄궂은... ^^;;)  "여기는 '교보문고' 가 아니라 '교보문구' 라고 해야겠네." 라고 했더니 친구도 어이없다는 표정으로 헛웃음을 지었다.  어차피 요즘은 인터넷 서점에서 책을 사는 시대라 일반 서점이 예전처럼 장사가 잘 되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명색이 서점인데 책이 없을 줄은 몰랐다.


  책 없는 서점을 보면서 전에 인터넷에서 읽은 도서정가제 관련 글을 떠올렸다.

  도서정가제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하는 글이야 전부터 기사 등을 통해 여러 번 접했으니 새로울 게 없다.  그런데 그 글이 다른 글과 달랐던 것은, 도서정가제가 좋은 법이냐 나쁜 법이냐를 떠나서 출판시장은 이미 쪼그라든 상태고, 도서정가제가 존속되든 폐지되든 간에 앞으로도 출판업계의 암울한 상황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예측한 점이다.

  왜냐하면 독서를 하는 사람이 줄고 있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책을 구입해줘야 출판업계도 지탱할 수 있는 게 아닌가?  그런데 책을 읽는 사람이 줄어들면 당연히 책이 안 팔리게 되고, 결국 수익을 낼 수 없는 출판업계는 힘들어질 수 밖에 없다.  

 

  독서하는 사람이 줄어드는 이유는 여러가지이다.


  일단, 우리 사회가 워낙 빡빡하다 보니 책을 읽을 시간이 별로 없다.

  학생 때는 야자에 시달리고 직장인이 되어서는 야근에 짓눌리는데, 어지간한 사람이라면 책 한 권 읽을 시간이 있으면 잠이나 더 자기를 원할 것이다.  그리고 휴일이라 시간이 생기더라도 평소 야자와 야근에 시달려 피곤에 찌든 탓에 책에 손이 가지 않게 된다.  독서처럼 정신을 집중해야 하는 취미보다는, 일시적으로나마 정신적 긴장을 확 풀어버릴 수 있는 취미(자전거, 등산, 캠핑 등 몸을 움직이는 취미)를 찾게 된다.


  그리고 21세기 들어서 세상이 엄청나게 변해서 취미가 다양해졌다.

  나의 학창시절에는 분명히 지금보다 독서인구가 많았지만, 생각해 보면 선생님들은 우리가 책을 너무 안 읽는다고 한탄하셨다. ^^;;  여러 선생님의 한탄을 뭉뚱그리자면 다음과 같다.  "내가 학교 다닐 때는 어려운 시절이라 책이 귀해서, 친구끼리 한 집에 모여앉아 시집을 읽거나 소설 한 권 가지고 순서 정해서 같은 반 모두가 돌려가며 읽었다.  그런데 너희는 시대 잘 타고나서 책을 얼마든지 읽을 수 있는데도 왜 이렇게 책을 안 읽는 거냐?  허구한 날 TV나 보면서 댄스가수 나오면 소리나 질러대고..."  즉, 세대가 내려가면서 독서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풍요로운 세상에서 자란 세대일수록 오히려 독서와는 멀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고 하니, 소득수준 향상과 인터넷 및 최신 기기 등의 발달로 취미가 무척 다양해졌기 때문이다.  우리의 윗세대, 즉 우리의 선생님 세대가 책을 열심히 읽은 가장 큰 이유는, 어려웠던 시절이라 독서 말고는 학생들이 할만한 취미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남학생은 야구나 축구 같은 운동이라도 하지, 워낙 보수적인 시절이라 여학생은 정말 독서 외에는 할 게 없었을 듯...)  하지만 우리 세대는 집집마다 TV가 있는 시대에 태어났기 때문에 드라마, 각종 오락 프로그램, 스포츠 중계 등에 재미를 붙이며 독서에 관심을 덜 보이게 되었다.  그리고 지금의 학생들은 어려서부터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서핑, 온라인 게임 등을 하며 자랐으니 독서와는 더욱 멀어질 수 밖에 없다.


  또한 독서하는 사람의 전제가 되는 인구 자체가 줄어들고 있다.

  지난 몇 년 언론에서 인구절벽이니 뭐니 떠들 정도로 신생아수가 대폭 줄어들고 있다.  전체인구에서 독서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같다고 가정하면, 당연히 전체인구가 많아야 독서인구의 수가 많아진다.  그런데 독서인구의 비율도 줄어드는 판국에 전체인구도 같이 줄어들고 있다.  그렇다고 요즘 이슈가 되는 AI가 책을 사서 읽겠는가...  AI가 인간 대신 온갖 일을 하게 되더라도 독서만큼은 할 일이 없을 것이다.

  책 읽는 이가 줄어드는 이유 중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 가장 치명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바빠서 독서할 시간이 없고 세상이 변해서 독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것이야, 강압적(!)인 방법이라도 동원하면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다.  독서를 정식 교과목으로 만들어 한 달에 책 한 권씩 의무적으로 읽게 하고 중간.기말고사도 보게 해서 내신성적에 반영하면, 성적에 목숨 거는 우리나라에서는 단기간에 독서인구를 늘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정말로 무식한(!) 방법이라서 실현될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어쨌거나 이론상으로는 이런 방법이라도 써서 억지로 독서하는 사람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하지만 전체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정말 대책이 없다.  아기는 공산품처럼 몇 달 동안 새 공장 뚝딱뚝딱 지어서 공급량을 대폭 늘일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니까. -.-;;


  거짓말 좀 보태서 말하자면, 이러다가 독서하는 사람이 멸종(!)할 지도 모른다.

  내가 학교 다닐 때만 해도 무슨 서류에 취미를 적어내야 할 때 제일 만만하게 나오는 게 독서였다.  그 정도로 가장 평범하고 무난한 취미였던 독서가 이제는 구닥다리나 즐기는 좀 특이한 취미로 취급 받게 되었다.

  장기나 바둑이 오랜 세월 각계각층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었지만 이제는 주로 노인들이 즐기는 것처럼, 세월이 더 흐르면 독서도 노인만의 취미가 되어버리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어쩌면 수십 년이 지난 후에 도서관에 가보면 노인만 가득할 지도 모른다.  그러면 도서관이 경로당과 노인대학을 겸하게 되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