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문맹률은 세계 최하 수준인데 실질 문맹률은 꽤 높다고 한다. 세종대왕 덕분에 우리말을 표현하는데 안성맞춤인 한글이 생겼고, 배우기 쉬운 한글과 미친 듯한 교육열 덕분에 우리나라의 문맹률은 1% 미만으로 전 세계 으뜸이다. 그러나 문맹률 앞에 '실질' 이라는 말을 붙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2017년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통계로는 우리나라 성인의 실질 문맹률이 22%라고 한다. 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 정도는 한글로 된 글을 읽을 줄은 아는데, 그 글의 의미나 목적을 제대로 파악 못 한다는 뜻이다. 이렇게 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시대의 변화가 가장 큰 이유인 것 같다. 사람들이 많은 단어로 이루어진 긴 글을 볼 일은 줄어들고 있다. (대표적으로 책) 대신 카톡이나 SNS의 짧은 글(짧..